[네트워크] 1. 네트워크 기초와 통신 프로토콜의 이해
1.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1.1 네트워크의 정의
네트워크(Network)는 둘 이상의 컴퓨터나 디바이스들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 통신 체계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해 우리는 인터넷 서핑, 메시징, 파일 공유 등 다양한 디지털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1.2 네트워크의 필요성
- 정보 공유: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쉽게 공유
- 자원 공유: 프린터나 저장장치와 같은 하드웨어 자원을 함께 사용
- 통신: 실시간 메시징, 화상 통화 등 원거리 통신 가능
- 비용 절감: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경제적 이점
2. 네트워크의 기본 구성 요소
2.1 노드(Node)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장치를 노드라고 합니다.
-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 라우터, 스위치
- 프린터, 서버 등
2.2 링크(Link)
노드들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입니다.
- 유선: 이더넷 케이블, 광케이블
- 무선: Wi-Fi, Bluetooth, 4G/5G
2.3 프로토콜(Protocol)
네트워크 통신의 규칙과 약속입니다.
- TCP/IP, HTTP, FTP 등
- 프로토콜의 주요 요소
- 구문(Syntax): 데이터 형식, 부호화, 신호 레벨
- 의미(Semantics): 오류 제어, 흐름 제어를 위한 제어 정보
- 타이밍(Timing): 속도 조절, 순서 조절
3. 네트워크의 유형
3.1 규모에 따른 분류
유형 | 범위 | 특징 | 예시 |
---|---|---|---|
PAN (Personal Area Network) |
개인 공간 (약 10m 이내) |
개인용 기기 간 연결 | 블루투스 기기 연결, 스마트워치 연동 |
LAN (Local Area Network) |
제한된 공간 (건물/캠퍼스) |
높은 속도, 낮은 오류율 | 사무실 네트워크, 학교 전산망 |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
도시 규모 | LAN보다 넓은 범위, WAN보다 빠른 속도 |
도시 CCTV 네트워크, 케이블TV 망 |
WAN (Wide Area Network) |
국가/대륙/전세계 | 넓은 범위, 다양한 기술 사용 | 인터넷, 기업 전용선 |
3.2 토폴로지에 따른 분류
토폴로지 | 특징 | 장점 | 단점 |
---|---|---|---|
버스형 (Bus) |
하나의 통신 회선에 여러 노드 연결 | - 구성이 단순 - 설치 비용 저렴 - 노드 추가/제거 용이 |
- 케이블 문제 시 전체 영향 - 네트워크 부하 발생 - 확장성 제한 |
스타형 (Star) |
중앙 노드를 중심으로 연결 | - 관리가 용이 - 장애 격리 쉬움 - 높은 성능 |
- 중앙 노드 장애 시 전체 영향 - 설치 비용 높음 |
링형 (Ring) |
원형으로 연결 | - 설치 비용 적음 - 충돌 없음 |
- 한 노드 장애 시 전체 영향 - 노드 추가/제거 어려움 |
메시형 (Mesh) |
그물망처럼 연결 | - 높은 신뢰성 - 우회 경로 존재 |
- 구성 비용 높음 - 관리 복잡 |
트리형 (Tree) |
계층적 구조로 연결 | - 확장성 좋음 - 관리 용이 |
- 루트 노드 장애 시 영향 큼 - 케이블 길이 제한 |
하이브리드형 (Hybrid) |
두 개 이상의 토폴로지 조합 | - 유연한 구성 - 장점 조합 가능 |
- 구성 복잡 - 관리 어려움 |
4. OSI 7계층 모델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눈 표준 모델입니다.
4.1 계층별 역할
-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비트 단위의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
- 케이블, 리피터, 허브
-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 인접한 노드 간의 데이터 전송
- MAC 주소, 이더넷
-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 담당
- IP 주소, 라우팅
-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 종단 간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 TCP, UDP 프로토콜
- 세션 계층 (Session Layer)
- 통신 세션 관리
- 연결 설정, 유지, 종료
-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 데이터 형식 변환, 암호화
- JPEG, MPEG 등 인코딩
-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
- HTTP, FTP, SMTP 등
5. TCP/IP 프로토콜 스택
TCP/IP는 현대 인터넷의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5.1 TCP/IP 4계층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 OSI의 물리, 데이터링크 계층에 해당
- 인터넷 계층
- IP 프로토콜
- 패킷 라우팅
- 전송 계층
- TCP: 신뢰성 있는 연결 지향 통신
- UDP: 비연결형 통신
- 응용 계층
- 웹, 이메일, 파일 전송 등
5.2 TCP와 UDP 비교
- TCP: 신뢰성, 순서 보장, 느린 속도
- UDP: 비신뢰성, 순서 미보장, 빠른 속도
마치며
이상으로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과 구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IP 주소체계와 서브넷에 대해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