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2. IP 주소의 이해와 서브네팅
1. IP 주소란?
IP 주소는 네트워크상에서 각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입니다. 마치 우리가 택배를 보낼 때 필요한 주소처럼,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디지털 주소’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2. IPv4와 IPv6의 차이
구분 | IPv4 | IPv6 |
---|---|---|
주소 길이 | 32비트 | 128비트 |
표현 방식 | 10진수 4개 구성 (예: 192.168.0.1) |
16진수 8개 구성 (예: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 |
주소 개수 | 약 43억개 (2^32) | 약 3.4×10^38개 (2^128) |
주소 구성 | 8비트씩 4부분 | 16비트씩 8부분 |
표기법 | 192.168.0.1 | 2001:db8:85a3::8a2e:370:7334 (축약 가능) |
보안 기능 | IPSec 선택사항 | IPSec 기본 탑재 |
QoS | 제한적 지원 | 향상된 QoS 지원 |
설정 방식 | 수동/DHCP | 자동 설정 가능 |
2.1 특수 목적 IP 주소
- 루프백 주소: 127.0.0.1
- 사설 IP 주소 대역:
- Class A: 10.0.0.0 ~ 10.255.255.255
- Class B: 172.16.0.0 ~ 172.31.255.255
- Class C: 192.168.0.0 ~ 192.168.255.255
- 자동 사설 IP: 169.254.0.0/16
2.2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 사설 IP를 공인 IP로 변환하는 기술
- NAT의 종류와 작동 방식
- 포트 포워딩 개념
3. IP 주소 체계
3.1 IP 주소의 구성
IP 주소는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 네트워크 부분: 네트워크를 식별
- 호스트 부분: 해당 네트워크 내의 특정 장치를 식별
3.2 IP 주소 클래스
클래스는 네트워크의 크기에 따라 구분됩니다:
클래스 | 첫 옥텟 범위 | 형식 | 용도 | 네트워크 수 | 호스트 수/네트워크 |
---|---|---|---|---|---|
A | 0~127 | N.H.H.H | 대규모 네트워크 | 128 | 16,777,214 |
B | 128~191 | N.N.H.H | 중형 네트워크 | 16,384 | 65,534 |
C | 192~223 | N.N.N.H | 소규모 네트워크 | 2,097,152 | 254 |
D | 224~239 | 해당없음 | 멀티캐스트 용도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E | 240~255 | 해당없음 | 연구/실험용 예약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참고:
- N: 네트워크 부분
- H: 호스트 부분
- Class D는 멀티캐스트 통신에 사용
- Class E는 실험 및 연구 목적으로 예약됨
- 실제 사용되는 클래스는 A, B, C가 대부분임
4. 서브네팅 (Subnetting)
4.1 서브네팅의 개념
서브네팅은 하나의 큰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작은 네트워크로 분할하는 것입니다.
4.2 서브네팅이 필요한 이유
- 네트워크 관리 효율성 향상
-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축소
- 보안성 강화
- 네트워크 트래픽 감소
5. 서브넷 마스크
5.1 서브넷 마스크의 개념
-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구분하는 역할
- 32비트의 이진수로 구성
- 1은 네트워크 부분, 0은 호스트 부분을 나타냄
5.2 서브넷 마스크 계산 예시
IP 주소: 192.168.1.0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이진수 표현: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6. CIDR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6.1 CIDR 표기법
- IP 주소 뒤에 ‘/’ 기호와 함께 네트워크 비트 수를 표기
- 예: 192.168.1.0/24
6.2 CIDR 사용 이점
- 유연한 네트워크 분할
- IP 주소 낭비 방지
- 라우팅 테이블 단순화
6.3 CIDR 계산 예시
192.168.1.0/24는
네트워크 주소: 192.168.1.0
브로드캐스트 주소: 192.168.1.255
사용 가능한 호스트 주소: 192.168.1.1 ~ 192.168.1.254
실습: 서브넷 계산기 만들기
간단한 서브넷 계산 예제를 통해 실습해보겠습니다:
- 주어진 IP 주소: 192.168.1.0/24를 4개의 서브넷으로 분할
- 각 서브넷의 네트워크 주소, 브로드캐스트 주소, 사용 가능한 호스트 범위 계산
마치며
IP 주소 체계와 서브네팅은 네트워크 관리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입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TCP와 UDP 프로토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남기기